🤼 “또 싸웠어요… 형제자매 다툼, 감정싸움 아닌 배움의 기회입니다 (중재법 5단계)”
✍️ “엄마, 얘가 내 장난감 뺏었어!”
“먼저 밀었단 말이야!”
“나 혼자 놀고 싶었단 말이야아아아!”
하루에도 몇 번씩 울고, 삐지고, 토라지는 형제자매.
화가 나면서도 붙어 있고 싶고, 질투 나면서도 놀고 싶은 마음…
그 사이에서 부모의 중재는 언제나 고단하고 어려운 숙제입니다.
하지만 사실, 형제자매의 다툼은
사회성을 배우는 가장 본능적이고 강력한 장면이에요.
오늘은 감정이 엉키는 그 순간,
부모가 갈등을 중재하며 ‘관계 회복력’을 키워주는 5단계 방법을 소개할게요.
🧭 STEP 1. “누가 먼저냐”보다 “지금 어떤 감정이 들었는지” 묻기
- ❌ “누가 먼저 밀었어?”, “네가 왜 그랬어?”
- ⭕ “속상했구나”, “둘 다 마음이 복잡해 보이네”
→ 사건보다 감정에 주목하면, 서로 말문이 열리고 방어가 줄어듭니다.
💬 STEP 2. 두 아이 말을 ‘공평하게’ 들어주기
- 돌아가며 말할 기회를 주고,
반복하지 않고 간단히 정리해주는 말로 되돌려주기 - 예: “지민이는 ○○ 때문에 속상했구나. 준호는 그것 때문에 화났고.”
→ 부모가 판사나 판결자가 아니라, 감정 통역자가 되는 게 핵심이에요.
🧱 STEP 3. 문제가 된 ‘상황’에 대해 함께 해결책 찾기
- “다음에 장난감을 같이 쓰고 싶을 땐 뭐라고 말해볼 수 있을까?”
- “형이 화날 땐 어떤 말로 알려주면 좋을까?”
→ 감정-행동-결과의 흐름을 함께 복기해보며
‘갈등 해결은 배울 수 있다’는 메시지를 주세요.
👐 STEP 4. 사과보다 ‘마음 표현’ 먼저 연습하기
- “미안해”를 강요하면 형식적인 사과만 남고 감정은 남아요
- 대신: “○○해서 형도 속상했겠다. 나도 기분이 이상했어”
→ 아이의 언어에 맞는 감정 나누기 연습이 먼저예요.
🤝 STEP 5. 갈등 뒤에 관계 회복의 기회를 주기
- “같이 좋아하는 ○○ 놀이할까?”
- “이 책 같이 읽으면 기분 풀릴지도 몰라”
→ 회복의 다리를 연결해주는 건
형제자매 관계에 ‘나는 미워해도 다시 좋아질 수 있어’는 경험을 심어줘요.
💡 보너스 팁: 평소 훈련이 갈등도 줄인다
- 협력 놀이 자주 하기 (블록 공동 작업, 같이 그림 그리기)
- “동생 도와주는 역할” vs “형에게 말 걸어보기”처럼 역할주기
- 놀이 중 갈등 모델링 연습 → 인형이 싸우고 화해하는 장면 함께 만들기
💬 마무리하며
형제자매 다툼은 _지나가는 풍랑_이 아니라,
마음을 나누는 연습장이기도 해요.
그 속에서 부모는 _화해와 이해의 다리 건축가_가 되어야 하죠.
완벽한 중재보다,
“다시 좋아질 수 있는 기회를 만든다는 것”
그게 바로, 진짜 중재입니다.
오늘도 아이들의 갈등을
관계의 씨앗으로 바꾸어가는 부모님,
진심으로 응원합니다. 💕
'이거 저거 요거~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👀 “말 안 해도 다 보여요: 3살 아이의 비언어 신호 읽는 법” (1) | 2025.06.23 |
---|---|
🗣️ “무엇이든 말할 수 있는 아이로 자라려면? 3살 아이 자기표현력을 키우는 질문 습관” (0) | 2025.06.23 |
🤝 “같이 하면 더 재밌어! 3살 아이 협동심 키우는 놀이법 BEST 6” (0) | 2025.06.23 |
🚦 “마음껏 하게 해줄까, 안 된다고 할까? 3살 아이 자율성과 한계의 균형 잡기” (0) | 2025.06.23 |
🗣️ “말 한마디가 아이를 키운다: 3살 아이를 위한 긍정 대화법 7가지” (3) | 2025.06.23 |
댓글